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오늘은 중환자실에서 진정제를 투여하고 있는 환자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중요한 관리 방법, 바로 Sedation Vacation(세데이션 베케이션), 우리말로는 진정 중단 평가(일시적 진정 중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Sedation Vacation이란?
Sedation Vacation(진정 중단 평가)은 진정제를 지속적으로 투여 중인 중환자에게 매일 일정 시간 동안 진정제를 중단하고, 환자의 의식 수준과 신경학적 반응을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Vacation(휴가)’라는 표현처럼, 환자에게도 잠시 “깨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진정과 그에 따른 합병증을 줄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으며 환자의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전략이자, 섬세한 간호 중재입니다.
왜 Sedation Vacation이 필요한가요?
1. 과진정(Over-sedation) 예방
지속적인 진정은 기도반사 소실, 섬망, 저산소증, 감염 위험 증가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진정제를 끊어보며 최소한의 진정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신경학적 평가 가능
깊은 진정 상태에서는 환자의 의식 수준(GCS, RASS 등), 신경학적 이상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Sedation Vacation을 통해 실제 환자의 신경학적 기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기계환기 기간 단축
환자가 깨어나는 반응을 보이면,
Weaning(자발호흡 유도) 또는 Extubation(관 제거) 타이밍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ICU 체류 기간, 사망률 감소
연구 결과에 따르면 Sedation Vacation을 정기적으로 시행하면
입원 기간 단축, 합병증 감소, 사망률까지 낮출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Sedation Vacation 실제 시행 절차
1️⃣ 시행 전 환자 상태 확인
다음 기준을 충족해야 Sedation Vacation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 활력징후 안정 (SBP > 90, HR < 120)
- 진통이 잘 조절됨 (Pain scale 3점 이하)
- 뇌압 상승이 의심되지 않음
- 발작 병력, 섬망 없음
- 기도 확보가 가능한 상태
📍 이 중 하나라도 불안정하면 시행 보류
2️⃣ 진정제 일시 중단
- Propofol, Dexmedetomidine, Midazolam 등 모든 진정제 투여를 잠시 멈춤
- 진통제(예: Fentanyl)는 유지하되, 필요시 감량 가능
3️⃣ 평가 관찰 (30~60분간)
진정제를 중단한 후, 다음을 관찰합니다:
- RASS 점수 변화 → -4에서 0 또는 +1로 변화하는지
-GCS 평가 가능 여부 → 눈 뜨기, 명령 수행 등 확인
- Spontaneous breathing 여부 → 자발 호흡 패턴, 호흡기와의 동기화 여부
- 섬망 징후, agitation 여부 → CAM-ICU 병행 가능
4️⃣ 진정제 재시작 여부 판단
- 협조 가능, 자발호흡 안정 → 진정제 재개 안 해도 됨
- agitation, 고혈압, 저산소증 발생 → 진정제 낮은 용량으로 재시작
ex) 환자 Sedation Vacation 시행 40분 후 명령 반응(+),
Spontaneous breathing 안정. RASS -1.
진정제 유지 중단하고 자발호흡 유도 중.
간호사가 반드시 기록해야 할 사항
▫️Sedation Vacation 시행 여부, 시간
▫️진정제 투여 여부 및 종류
▫️평가 중 환자의 반응 (RASS, GCS, 호흡, 섬망 등)
▫️진정제 재시작 여부 및 이유
▫️의료진 간 협의 내용 (Weaning 계획 등)
주의사항
▫️갑작스런 흥분, 자발호흡 불균형, 기도 자극 시 빠른 대처 필요
▫️응급 약물, 산소 공급 준비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함
▫️Sedation Vacation 중 환자 낙상, 기기 제거 방지 위한 보호대 필요 가능
마무리하며
Sedation Vacation은 단순한 ‘약물 중단’이 아니라 환자의 회복을 앞당기고, 진정제를 적절히 조절하는 능동적이고 과학적인 간호 중재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ICU 환자의 회복 가능성을 평가하고, 의료진의 치료 방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절차라는 걸 꼭 기억해 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려요! 😉
'간호 &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에서 자주 쓰는 진통제 비교: Fentanyl과 Remifentanil의 차이는? (2) | 2025.03.30 |
---|---|
Dexmedetomidine vs Midazolam – 중환자실에서 자주 쓰이는 진정제 비교 (2) | 2025.03.29 |
RASS 점수란? 중환자실에서 꼭 알아야 할 의식수준 평가 도구 (1) | 2025.03.29 |
병원에서 꼭 쓰는 호흡기치료 기계, 네불라이저(Nebulizer) 약물 순서까지 완벽 정리! (7) | 2025.03.29 |
수액 종류 한눈에 보기|병원에서 쓰는 수액 총정리 (4)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