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간호지식

VP Shunt란? 수두증 치료의 핵심,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뇌실복강 단락술 완전정리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 중환자실이나 신경외과 병동에서 근무하시다 보면, 뇌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복부까지 이어진 관을 가진 환자를 보신 적 있으실 거예요. 이는 VP Shunt(Ventriculoperitoneal Shunt, 뇌실복강 단락술)을 시술받은 환자로, 지속적인 뇌압 상승이나 수두증을 장기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중요한 수술입니다. 오늘은 VP Shunt가 무엇인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어떤 간호가 필요한지에 대해 하나하나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EVD를 거쳐 VP Shunt로 전환되는 케이스도 많기 때문에, 간호사라면 꼭 숙지해야 할 필수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VP Shunt (Ventriculoperitoneal Shunt )란 무엇인가요?VP Shunt는 뇌척수액(CSF)이.. 더보기
뇌실 외 배액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신경외과 간호의 핵심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 신경외과 병동이나 중환자실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이라면, 머리에 투명한 튜브를 연결하고 침대 머리맡에 드레인백을 둔 환자를 한 번쯤은 보셨을 거예요. 바로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외부 뇌실 배액기)를 사용하는 환자입니다. ‘정확히 뭐지?’, ‘관리할 때 주의할 점은 뭘까?’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해, 오늘은 EVD의 정의부터 간호 실무에 꼭 필요한 관리 포인트까지 하나하나 풀어서 설명드릴게요! EVD(외부 뇌실 배액기)란?EVD는 뇌실(ventricle)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뇌척수액(CSF)을 외부로 배출하고, 동시에 뇌압(ICP)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중재적 장치입니다. 주로 급성 수두증, 지주막하출혈(SAH), 외상성 뇌손상(TBI).. 더보기
SOFA 점수와 qSOFA란? 중환자 예후 평가 기준 완전 정리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는 환자의 상태가 빠르게 악화되기도 하고, 반대로 회복의 실마리를 잡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확하고 신속한 환자 평가 도구는 필수인데요, 그 중에서도 오늘은 SOFA 점수와 qSOFA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보려 해요. 이 두 점수는 패혈증 및 중환자 상태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매우 중요하며, 특히 패혈성 쇼크나 전신 염증 반응(SIRS) 상태에서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실제로도 간호사나 의사가 중환자실 환자의 상태를 수시로 파악하는 데 자주 활용되죠. 그럼 지금부터 SOFA와 qSOFA 점수가 무엇인지, 각각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쉽게 풀어드릴게요!SOFA 점수란?SOFA (Sequential Organ Failure A.. 더보기
Septic Shock – 병태생리부터 진단, 치료까지 완전 정리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오늘은 중환자실이나 응급상황에서 자주 듣게 되는 Septic Shock(패혈성 쇼크)에 대해 깊이 있고 자세하게 정리해보려 합니다. 패혈성 쇼크는 단순 감염처럼 시작하지만, 신속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태로 진행될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Septic Shock의 정의, 병태생리, 원인과 증상, 진단, 치료, 예후와 간호 관리까지 폭넓고 구체적으로 다뤄드릴게요.패혈성 쇼크란 무엇인가요?Septic Shock(패혈성 쇼크)는 심각한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패혈증(Sepsis)의 최종적이고 중증 단계로, 전신에 염증 반응이 광범위하게 퍼지고, 그로 인해 혈관이 이완되어 혈압이 급격히 저하되며, 장기 손상이 동반되는 위중한 상태를 말합니다.📌 정의 (Sepsi.. 더보기
헷갈리는 PTBD와 PTGBD,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오늘은 중환자실이나 외과계 병동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두 가지 시술, PTBD와 PTGBD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이 두 용어는 비슷하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삽입 부위, 적용 대상, 시술 목적이 모두 다릅니다. 이 글을 통해 PTBD와 PTGBD의 정의, 병태생리, 차이점, 그리고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시술 전후 간호 포인트까지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용어 정리부터 시작해 볼게요 🟡 PTB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경피적 간담관 배액술 - 간을 통과하여 담관(담즙이 흐르는 관)에 직접 관을 삽입해 담즙을 배액 하는 시술입니다.- 초음파 또는 CT 가이드 하에 피부를 통해 간에 접근하고, 간내 담관을 천자하.. 더보기
요추천자(Lumbar Puncture)란? 뇌척수액 검사의 모든 것 – 진단, 간호, 결과 해석까지 완전 정리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천자 시리즈’ 세 번째 이야기로 돌아왔어요. 오늘은 조금 무서울 수도 있는 주제, 요추천자(Lumbar Puncture)에 대해 다뤄볼게요. 원에서 “허리에 바늘을 찌른다”는 말을 들으면 많은 분들이 긴장하시죠. 실제로 환자분들도, 보호자분들도 많이 불안해하시고요. 그런데 이 요추천자라는 시술은 무조건 겁낼 대상이 아니라, 우리 몸의 중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필수 검사랍니다. 특히 뇌와 척수를 감싸는 뇌척수액(CSF)을 검사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신경계 질환의 진단에서 빠질 수 없는 핵심 시술이에요. 오늘은 이 시술이 어떤 경우에 필요하고, 어떻게 진행되며, 간호사는 무엇을 챙겨야 하는지 꼼꼼하게 풀어드릴게요! 요추천자란 무엇인가요?요추천자, 영어로는 Lumb.. 더보기
흉수 천자Thoracentesis란? 시술 전후 간호부터 진단 포인트까지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오늘은 '천자 시리즈' 두 번째 이야기, 바로 흉수 천자(Thoracentesi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시술은 폐를 감싸고 있는 흉막강(Pleural space)에 고여 있는 체액을 바늘을 통해 뽑아내는 의료 행위인데요, 환자의 호흡곤란을 완화하거나 원인 질환을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중환자실이나 병동 간호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시술이기도 해서, 오늘은 흉수 천자의 정의부터 시술 과정, 간호 포인트, 검사 해석법까지 탄탄하게 정리해 드릴게요.흉수란 무엇인가요?우리의 폐는 ‘흉막(pleura)’이라는 얇은 막에 싸여 있습니다. 이 흉막은 두 겹으로 되어 있는데요, 장측 흉막(visceral pleura)과 벽 측 흉막(parietal pleura) 사.. 더보기
복수 천자(paracentesis)란? 간호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시술 정보 완전 정리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간호사로 일하다 보면 종종 ‘천자’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천자는 우리 몸속에서 생긴 비정상적인 체액을 진단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바늘이나 카테터로 체액을 채취하거나 제거하는 시술을 말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복수 천자(paracentesis)’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복수 천자는 간호사라면 필수로 알고 있어야 할 시술 중 하나인데요,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만큼 그 목적, 시행 시기, 과정, 간호 포인트 등을 꼼꼼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복수 (Ascites)란 무엇인가요?‘복수(Ascites)’는 복강 내에 정상 이상으로 액체가 고이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복수는 간경화, 암, 심부전, 결핵성 복막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복.. 더보기
SDH, EDH, SAH, ICH, IVH – 뇌출혈의 모든 것, 해부학부터 간호까지 완전 정리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오늘은 간호사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주제, 뇌출혈의 종류와 구분법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CT나 MRI 판독을 보면서 SDH, EDH, SAH, ICH, IVH 같은 용어를 들어보신 적 있으시죠? 다 비슷해 보여도, 실제로는 출혈 위치와 원인, 증상, 치료 방법까지 모두 다릅니다. 그래서 ‘그게 뭔데요?’ 하고 넘기지 말고, 이 기회에 정확히 정리해 두면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하나씩 자세히 설명드릴게요.뇌출혈이란 무엇인가요?뇌출혈(Cerebral hemorrhage)이란, 뇌혈관이 손상되면서 뇌조직 내부 또는 그 주변 공간에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고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으로는 뇌 속에 혈액이 고이면 안 되며, 혈관은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만 공급하고 바로 다시 순..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