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
요즘 병원에서 근무하시다 보면, EMR에 “CARS 점수 경고 발생”, “Deep CARS 기록 필요” 같은 문구가 슬며시 보이기 시작하셨을 거예요.
“이게 뭐야? 뭘 기준으로 점수가 뜨는 건데?”,
“그냥 복붙만 하라고 해서 적긴 하는데... 내가 뭘 쓰고 있는 건지는 잘 모르겠어😅” 하셨던 간호사님들 많으시죠?
그래서 오늘은! Deep CARS의 개념, 작동 원리, 점수의 의미, 간호사가 어떻게 대응하고 기록해야 하는지까지 전부 자세히 풀어드릴게요.
Deep CARS란?
Deep Clinical Action Recommendation System의 약자예요. 우리말로는 '딥러닝 기반 임상 처치 권고 시스템' 정도로 번역할 수 있어요. 쉽게 말해서, “AI가 실시간으로 환자 상태를 분석하고, 중대한 이상 징후를 예측해서 의료진에게 알리는 시스템”입니다.
단순히 혈압이 낮다거나 열이 난다 같은 조건이 아니라, 환자의 활력징후 + 검사 수치 + 진단명 + 처방 변화 + 과거력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해서 “이 환자, 곧 패혈증으로 진행할 가능성 있어요” “폐렴 위험도가 높아졌어요” 이런 식으로 ‘예측 경고’를 띄워주는 시스템입니다.
Deep CARS 점수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요?
Deep CARS는 일반적인 Rule-based 시스템(기준값을 넘으면 경고)과 다르게, AI가 딥러닝 방식으로 수많은 환자의 데이터를 학습해서 각 환자의 상태를 점수(score) 형태로 수치화합니다.
✅예시
▫️Deep CARS Sepsis Score: 0.82 (기준치 0.70 초과 → 경고 발생)
▫️Deep CARS Pneumonia Score: 0.61 (기준치 미만 → 경고 없음)
📌 이 점수는 다음의 데이터들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계산됩니다:
▫️활력징후 변화 (BT, BP, HR, RR 등)
▫️혈액검사 수치 변화 (WBC, CRP, Lactate, Creatinine 등)
▫️의무기록 상 진단명, 수술 이력, 과거력
▫️현재 투약 내역 (항생제, 스테로이드, 해열제 등)
▫️영상검사 소견 및 판독 결과 (X-ray, CT 등)
▫️간호기록과 NRS(신고된 증상, 통증 등)
즉, 단순히 “혈압 낮음”만 보는 게 아니라, 지금까지의 환자 상태 경과 전체를 '패턴'으로 읽고 예측하는 고도화된 시스템이에요.
간호기록에 어떻게 반영되나요?
많은 병원들이 Deep CARS 시스템과 EMR(전자의무기록)을 연동해서,
특정 점수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경고 알림을 띄우거나, 간호기록란에 반영되도록 설정하고 있어요.
✅ 병원 예시 화면
▫️“Sepsis CARS Score: 0.84 – 패혈증 경고 발생”
▫️“CARS 점수 기준치 초과로 의료진 주의 요구됨”
▫️“기록: 2025.04.18 10:00 – Deep CARS 점수 기준 초과 / 감염 위험 추적 필요 / 활력징후 안정적이나 CRP 상승”
이때 일부 병원에서는
▫️자동으로 기록 템플릿이 뜨는 병원도 있고
▫️간호사가 직접 점수 확인 후, 특이사항란에 추가 기록하는 방식도 있어요.
간호사가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1️⃣ Deep CARS는 ‘처방’이 아니다
▫️Deep CARS는 ‘의료진 판단 보조 도구’ 일뿐입니다.
▫️AI가 “이 환자 위험해요!”라고 알려준다고 바로 진단이나 처치를 시작하진 않아요.
▫️하지만 환자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반드시 주의해서 봐야 해요.
2️⃣ 간호기록에 점수 그대로 적지 말고, 환자 상태와 연결해서 작성
✔ 잘못된 예:
“Deep CARS 점수 0.84 – 기록함”
✔ 바람직한 예:
“Deep CARS 점수 0.84로 패혈증 경고 발생. 현재 V/S 안정적이나 CRP 9.1로 상승 중. 소변량 감소. 감염소견 추적 필요하여 13시 Lab 예정임.”
→ 이렇게 적으면 정말 간호기록으로서 가치가 있고,
→ 이후 의료진 커뮤니케이션에도 훨씬 도움이 돼요!
3️⃣ Deep CARS는 간호사의 판단 보조 도구로 활용하자
▫️ 예후가 안 좋아지는 환자일수록 점수가 오르기 쉽습니다.
▫️ 기록에만 그치지 말고, 상태관찰, V/S, Intake & Output 등을 집중적으로 재평가하세요.
▫️ 의사에게 보고 시 근거 있는 대화가 가능해집니다.
Deep CARS vs 기존 CARS 차이점
마무리하며…
Deep CARS는 단순한 경고 시스템이 아니라,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미리 감지하고 선제 간호를 시행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예요. 이제는 ‘이상한 점수 하나 떴다~’ 하고 넘기지 마시고,
📌 환자의 경과를 되돌아보고,
📌 기록을 상황에 맞게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 필요시 의사와의 의사소통에 활용해 보세요.
👉 앞으로의 간호는 단순한 관찰에서 벗어나 AI와 함께 임상 판단력을 더하는 ‘데이터 기반 간호’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 ㅍ우리 모두 한 발 앞서서 준비해 보면 어떨까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릴게요
앞으로도 좋은 정보로 찾아뵐게요😊
'간호 &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이란? 희귀 뇌혈관질환 완전 정복! (2) | 2025.04.21 |
---|---|
VP Shunt란? 수두증 치료의 핵심,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뇌실복강 단락술 완전정리 (1) | 2025.04.19 |
뇌실 외 배액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신경외과 간호의 핵심을 알아보자! (2) | 2025.04.18 |
SOFA 점수와 qSOFA란? 중환자 예후 평가 기준 완전 정리 (2) | 2025.04.16 |
Septic Shock – 병태생리부터 진단, 치료까지 완전 정리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