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는 환자의 상태가 빠르게 악화되기도 하고, 반대로 회복의 실마리를 잡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확하고 신속한 환자 평가 도구는 필수인데요, 그 중에서도 오늘은 SOFA 점수와 qSOFA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보려 해요. 이 두 점수는 패혈증 및 중환자 상태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매우 중요하며, 특히 패혈성 쇼크나 전신 염증 반응(SIRS) 상태에서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실제로도 간호사나 의사가 중환자실 환자의 상태를 수시로 파악하는 데 자주 활용되죠. 그럼 지금부터 SOFA와 qSOFA 점수가 무엇인지, 각각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SOFA 점수란?
SOFA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점수는 ‘장기 기능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고, 중환자의 사망 위험도를 예측하는 도구’입니다. 원래는 패혈증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모든 중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중증도 평가 도구로 사용되고 있어요.
✔️ 평가 항목 6가지
▫️호흡기계: PaO₂/FiO₂ 비율
▫️중추신경계: GCS(Glasgow Coma Scale)
▫️심혈관계: 혈압, 승압제 사용 여부
▫️간기능: 빌리루빈 수치
▫️신장기능: 크레아티닌 수치 또는 소변량
▫️혈액응고: 혈소판 수치
각 항목은 **0점(정상) ~ 4점(심한 기능 저하)**까지 점수를 부여하며, 총점은 0점에서 24점까지입니다.
📌 총 SOFA 점수가 높을수록 다장기부전의 위험이 크고, 사망률도 상승합니다.
→ 예: 12점 이상이면 사망률이 90%를 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합니다.
qSOFA란?
qSOFA (quick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는 이름 그대로 신속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만든 간이 평가 도구입니다. 혈액 검사나 복잡한 수치 없이, 환자 옆에서 바로 관찰 가능한 3가지 기준만으로 판단합니다.
✔️ qSOFA 3가지 항목
▫️호흡수 ≥ 22회/분 이상
▫️의식 변화 (GCS < 15)
▫️수축기 혈압 ≤ 100mmHg 이하
➡️ 이 중 2개 이상이면 패혈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즉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경고 신호로 간주됩니다. qSOFA는 패혈증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도구이지, 진단 그 자체는 아니며, SOFA 점수 평가의 전단계 도구로 보시면 됩니다.
SOFA vs qSOFA – 차이점은?
정리하자면, SOFA는 정밀 진단용, qSOFA는 선별 및 초기 대응용으로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SOFA 점수와 예후
SOFA 점수가 높을수록 사망률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SOFA 점수 2점 이상: 패혈증으로 간주
▫️SOFA 점수 >11점: 사망률 90% 이상까지 보고됨
그만큼 이 점수는 중환자의 장기 기능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간호중재나 의사결정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간호사 입장에서 어떻게 활용할까요?
🔹활력징후 중 MAP, 호흡수, 의식 상태를 자주 확인하면서 qSOFA 항목을 상시 체크
🔹혈액검사 결과를 토대로 SOFA 점수 기록 유지 및 변화 확인
🔹GCS 점수 측정도 간호사에게 중요한 역할
🔹qSOFA 점수가 2 이상인 경우, 신속한 보고와 의심 질환 대처 필수
🔹변화 양상을 수치화하여 객관적으로 의사에게 보고할 수 있음
간호사의 실무 적용 팁
🔸qSOFA 2점 이상인 환자가 있으면 즉시 담당 의사에게 보고하세요.
🔸SOFA 항목 중 GCS, 소변량, 호흡수, 혈압, SPO₂는 간호사가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어요.
🔸환자의 SOFA 점수가 급격히 증가하면, 장기 부전 진행 중일 수 있으므로 더욱 면밀한 관찰과 간호가 필요합니다.
🔸간호기록지에 SOFA 항목별 수치를 정기적으로 기록하면, 환자 경과 확인 및 병태 변화 예측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SOFA와 qSOFA 점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판단 기준입니다.간호사가 qSOFA를 즉시 파악하고, SOFA 점수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패혈증이나 쇼크 상태의 조기 발견과 생존율 향상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어요. 이번 글을 통해 SOFA와 qSOFA가 어떤 의미인지, 실무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명확하게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요청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이나 메일로 언제든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릴게요
앞으로도 좋은 정보로 찾아뵐게요😊
'간호 &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 Shunt란? 수두증 치료의 핵심,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뇌실복강 단락술 완전정리 (1) | 2025.04.19 |
---|---|
뇌실 외 배액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신경외과 간호의 핵심을 알아보자! (2) | 2025.04.18 |
Septic Shock – 병태생리부터 진단, 치료까지 완전 정리 (1) | 2025.04.15 |
헷갈리는 PTBD와 PTGBD,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 2025.04.13 |
요추천자(Lumbar Puncture)란? 뇌척수액 검사의 모든 것 – 진단, 간호, 결과 해석까지 완전 정리 (2)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