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
오늘은 인공호흡기 치료 후 드디어 **"발관(extubation)"**이 이루어진 환자에게
우리가 어떤 간호를 해야 하는지, 놓치지 말아야 할 관찰 포인트는 무엇인지 정리해보려고 해요.
사실 발관은 치료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에요.
이 시기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재삽관 여부, 그리고 환자의 회복 속도까지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발관 직후,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들
발관 직후는 환자에게도, 간호사에게도 가장 예민한 시간이에요.
호흡 상태뿐 아니라 기도 유지 능력, 의식 상태, 기침 반사 등을 다방면으로 평가해야 해요.
우선 확인할 항목은 다음과 같아요:
▫️환자가 자발적으로 숨을 잘 쉬고 있는지
▫️산소포화도(SpO₂)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호흡수가 너무 빠르거나 얕지는 않은지
▫️기침이나 분비물 배출 능력이 충분한지
▫️목소리가 너무 쉬거나(hoarseness), 침을 잘 못 삼키는 건 아닌지
이 중 하나라도 이상 소견이 있으면, 기도폐쇄나 흡인의 초기 징후일 수 있어요.
👀 발관 후 1~2시간, 집중 관찰이 필요한 이유
발관 후 첫 1~2시간은 재삽관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간대입니다.
이 시기에 우리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면밀히 관찰해야 해요.
▫️환자의 의식 수준: RASS나 GCS 기준으로 판단하며, 깨어 있는지 확인
▫️호흡 양상: accessory muscle을 사용하는지, 호흡곤란 표정은 없는지
▫️SpO₂와 RR: 산소포화도는 92% 이상 유지되는지, 호흡수는 분당 35회 미만인지
▫️가래와 분비물 상태: 끈적이거나 누런 가래가 많다면 suction 자주 필요
▫️안, 발한, 무의식적 움직임 증가: 단순 불안일 수 있지만, 기도 문제의 전조일 수도 있음
작은 변화도 빠르게 캐치하는 간호사의 눈이 가장 빛나는 시간이죠 😊
🚨 재삽관을 의심해야 할 징후
환자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즉시 의료진과 상의하고 재삽관을 준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갑자기 호흡수가 35회를 넘을 때
▫️SpO₂가 90% 이하로 떨어질 때
▫️숨소리에서 stridor(쌕쌕거림)가 들릴 때
▫️침 삼키는 걸 어려워하거나, 계속 사래 들릴 때
▫️땀을 뻘뻘 흘리고 불안감이 심해지며 얕은 호흡을 할 때
이 모든 건 기도 폐쇄나 호흡부전의 초기 사인일 수 있어요.
발관 후 간호사의 핵심 역할 5가지
발관은 의사가 하지만, 관리는 간호사가 책임집니다!
우리의 역할은 다음과 같아요:
1️⃣산소 공급 조절
▫️필요 최소량으로 시작 (보통 nasal prong 1~3L)
▫️SpO₂ 기준으로 조절하며 과도한 산소 투여 방지
2️⃣기도 유지 관리
▫️suction은 필요 시 즉시 시행
▫️가래 농도 줄이기 위해 수분 관리도 중요
3️⃣의식 및 호흡 지속 관찰
▫️자주 말 걸며 호흡 상태 관찰
▫️RASS나 GCS 간단히 체크
4️⃣심리적 지지
▫️“이제 스스로 숨 잘 쉬고 계세요, 너무 잘하고 계세요”
▫️간단한 격려 한 마디로 환자의 불안이 크게 줄어듭니다
5️⃣응급상황 대비
▫️Ambu bag, suction, 재삽관 kit 항상 손 닿는 곳에 준비
▫️rapid response team 호출 기준 숙지해두기
💡 발관 후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
발관이 끝이라고 안심하면 절대 안 됩니다.
오히려 이 시점부터가 회복의 첫 단계에요.
재삽관이 발생하면, 환자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더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폐렴, 섬망, ICU-acquired weakness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지죠.
그만큼 간호사의 관찰력과 대응이 중요한 순간이에요.
우리가 한 발 더 앞서서 준비하고 지켜봐야 해요
✨ 누숭이의 마무리 한마디
발관은 끝이 아니라 회복의 시작입니다.
숨 쉬는 데 불안함 없이, 환자 스스로의 호흡을 다시 찾아가는 그 과정을 가장 가까이에서 함께 해줄 수 있는 존재가 바로 우리, 간호사예요.
📌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려요! 😉
< 관련 글 >
인공호흡기의 모든 것! 기초 개념부터 모드 완전정복 + 용어 정리까지
안녕하세요, 누숭이입니다 😊 오늘은 중환자실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핵심 장비, 바로 **인공호흡기(Ventilator)**에 대해 제대로 정리해보려 해요. 처음 보면 너무 복잡한 용어들
ju-vely-91.tistory.com
인공호흡기 weaning 기준 총정리|환자 상태별 탈기계 가능 여부 이렇게 확인하세요
https://ju-vely-91.tistory.com/manage/newpost/28?type=post&returnURL=ENTRY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간호 &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호흡기 알람 종류와 대처법! ICU 간호사라면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1) | 2025.03.25 |
---|---|
발관 후 비침습 인공호흡기로 전환해야 할 때|NIV 적용 기준과 간호 포인트 정리 (1) | 2025.03.25 |
당뇨병이 왜 심장병 위험을 높일까요? (2) | 2025.03.24 |
인공호흡기 weaning 기준 총정리|환자 상태별 탈기계 가능 여부 이렇게 확인하세요 (3) | 2025.03.23 |
인공호흡기의 모든 것! 기초 개념부터 모드 완전정복 + 용어 정리까지 (0) | 2025.03.22 |